
03. Statistics(Central limit theorem)
[toc] 2022-10-24 통계학 과제 중심극한정리 B(3, 1/6)의 표본평균의 분포 n = 3개 # 3개 set.seed(20221024) par(mfrow=c(2,2)) x <- rbinom(3000, 3, 1/6) # B(3, 1/6)에서 난수를 3000개 생성함 x <- matrix(x, 1000, 3) # 1000x3...
[toc] 2022-10-24 통계학 과제 중심극한정리 B(3, 1/6)의 표본평균의 분포 n = 3개 # 3개 set.seed(20221024) par(mfrow=c(2,2)) x <- rbinom(3000, 3, 1/6) # B(3, 1/6)에서 난수를 3000개 생성함 x <- matrix(x, 1000, 3) # 1000x3...
[toc] Circuit Theory HW3 문제 파이썬으로 직렬-병렬 저항의 합 구하는 코드 구현 코드 print("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") ID = input("What is your Student ID? ") #A and B AtoB = input( "Are Registers ...
[toc] Circuit Theory HW2 문제 파이썬으로 P = VI 공식을 이용하여 0이 입력된 값을 구하기 코드 I, V, P, Direction of I 를 입력하면 됨 # P = IV (전력 = 전압 * 전류) # V = P / I (전압 = 전력 / 전류) # I = P / V (전류 = 전력 / 전압) i, v,...
[toc] 2022-09-25 통계학 과제 2장 3번, 3장 8, 9, 10번 문제 풀이 2장 3번 # 2장 3번 문제 풀이 iris x <- iris[1:50,1] x #평균 mean(x) #분산 var(x) #표준편차 sd(x) #중앙값 median(x) #최대값 max(x) #최소값 min(x) #범위 range(x) #Q1, Q...
[toc] Circuit Theory HW1 문제 파이썬으로 학번, 이름, 입학년도, 휴학 여부 입력 받아서 한 문장으로 출력하기 코드 a = input('What is your name? ') b = input('What is your Student ID? ') c = input('When did you enroll the Unive...
[toc] 2022-09-05 통계학 첫 번째 과제 수업시간에 알려준 R 명령어 연습과 연습문제 2번 문제 풀이 명령어 연습 # 계산기 처럼 사용하기 2+3 2^3 1/2 sqrt(2) sin(pi) exp(1) log(exp(1)) log(10, base=10) abs(-1) factorial(5) choose(5,2) # choose는 경우...
[toc] Practicing Linux Commands 이번 학습에서는 Git을 터미널에서 다룰 때 자주 사용하는 리눅스 명령어들을 실습해보았다. 또한 터미널 기반 편집기인 Vim과 관련 설정까지 함께 익혔다. 기본 명령어 ✅ pwd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 출력 → print working directory ✅ ls ...
[toc] Getting Started with Git 1. Install Git 공식 사이트: https://git-scm.com/book/ko/v2/시작하기-Git-설치 Git은 Windows, macOS, Linux 모두에서 설치 가능하며, 위 링크에 설치법이 자세히 안내되어 있다. 2. 설치 확인 (Check) Ma...
[toc] 5. 입력 양식 작성하기 5-1. 폼 삽입하기 이번 학습에서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 정보를 입력하고 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폼(form) 요소를 학습하였다. 입력 양식은 로그인, 회원가입, 설문조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, HTML과 서버 언어의 연계가 핵심이다. 1. 폼(form)이란? 쇼핑몰이나 설문조사에서 ...
[toc] 실수형 자료형: float와 double 이번 학습에서는 C 언어에서 실수를 표현하기 위한 자료형인 float와 double에 대해 정리하였다. 컴퓨터는 실수를 저장할 때 부동소수점 방식(Floating-Point Representation)을 사용하며, 이 방식은 IEEE 754 표준에 기반한다. 1. 부동소수점(Floating-...